족보

당상관 당하관

정윤덕 2013. 12. 23. 19:41

 

 

당상관은

조선시대 관리 중에서

문신은 3품 통정대부(),

무신은 3품 절충장군()

이상의 품계를 가진 자를 뜻합니다 

 

넓게는

 명선대부(明善大夫) 이상의 종친, 봉순대부(奉順大夫)

이상의 의빈(儀賓)을 포함합니다.

 

조정에서 정사를 볼 때

 대청[]에 올라가 의자에 앉을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자를 가리키는 데서 나온 용어로,

왕과 같은 자리에서 정치의 중대사를 논의하고 정치적 책임이 있는 관서의

장관을 맡을 자격을 지닌 품계에 오른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당상관의 경우 관복의 흉배에 어떠한 분야이든 두 마리가 그려지게 되어 있다.

문관의 경우 학이 두 마리, 무관의 경우 호랑이가 두마리이다.

 

관복의 흉배에 한마리만 그려지는 당하관과 비교했을 때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했다

 

왕 앞에 나아가 시험을 치르고 왕에 의해 직접 성적이 매겨지는 전시(殿試)

 포함하는 문과와 무과를 통과하여 진출한 문신과 무신만이 맡을 수 있었고,

 원칙적으로 기술관이나 환관 등은 임명될 수 없었습다.

 

 

당하관은

 조선시대 관리 중에서

 문신은 정3품 통훈대부(),

 무신은3품 어모장군()

  이하의 품계를 가진 자를 뜻합니다.

 

넓게는 창선대부(彰善大夫) 이하의 종친, 정순대부(正順大夫)

 이하의 의빈(儀賓)을 포함합니다.

 

조정에서 정사를 볼 때

 대청[]에 올라가 의자에 앉을 수 없다는 데서 나온 용어로서, 국가 정책의

 입안보다는 주로 국정실무를 수행하는게 임무를 맡았습니다.

 

당하관 내에서는

다시 6품 이상의 참상관(參上官)과 그 이하의 참하관(參下官)으로

등급이 나누어졌습니다.

 

 7품 이하는

 하급군인, 사역, 기능직과 같은 정치적 권력이나 참여권이

 없는 관직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3품 상계(上階) 이상의 관원을 당상관,

그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합니다.

 

품계는 모두 9품인데,

품마다 정종의 구분이 있어 1품이라면 정1,

1품이 있습니다.

 

다시 정종 각품마다

 두 개의 계가 있습니다. 상계란 그 중 높은

 계라는 뜻입니다.

 

'족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관직  (0) 2013.12.24
내외명부  (0) 2013.12.24
호칭  (0) 2013.08.28
본계내력1  (0) 2013.07.05
큰공소결산  (0) 201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