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언어 ․감(敢) : 감히. ․감망(敢忘) : 감히 잊을 수가 있겠는가? ․감모(感慕) : 마음에 느껴 사모함. ․감소고우(敢昭告于) : 삼가 밝게 아뢰옵니다. ․건고근고(虔告謹告) : 정성들여 고하고 삼가 고함 ․건자택조(建玆宅兆) : 무덤을 이룸. ․경신전헌(敬伸奠獻) : 공경하는.. 제례 2018.02.27
제례 # 상중제례절차(喪中祭禮節次) # 강 신(降神)=혼백을 모셔 강림토록 하는것 상주이하 참사자 전원이 곡을 시작하고 상주가 향탁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세 번 향을 피우고 일어나서 재배하고 다시 꿇어 앉아 강신잔을 들어 상주 우측 집사자로 하여금 술을 따르게 한다음 모사에 세번에 나.. 제례 2015.11.15
3과실 제사에3실과를 쓰는 이유 *제사에3실과를 쓰는 이유 *제사에 3실과를 쓰는 이유 제사를 모실 때 보면 가가례(家家禮)라는 말이 있듯 시제수를 진설하는 방식은 지역마다 집집마다 조금씩 다르다. 일반적으로 과일로는 오색 또는 삼색을 쓰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요하게 치는 덕목 중.. 제례 2014.09.06
4대봉사이유 왜 제사는 4대까지 지낼까? 맨 아래 표시하기 클릭하고 보세요 期約할 것인가 虛送歲月로 高貴한 人生을 버릴 것인가 참다운 인생길은 깊은 觀察力과 彈力있는 마음 넓고 따뜻한 마음 淡白한 마음 眞實과 우정이 넘치는 마음으로 땀흘려 일하며 跳躍的 自立精神으로 사치와 낭비를 멀리.. 제례 2013.12.06
설,추석 상차리기 추석, 설 차례상 및 제사 ===제사(기제)와 차례=== 1. 기제와 차례란? 1) 날 : 기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차례는 명절 2) 시간 : 기제는 밤, 차례는 낮 3) 대상 : 기제는 돌아신 조상과 그 배우자만, 차례는 자기가 받드는 모든 조상. 4) 장소 : 기제는 장자손의 집, 차례는 사당이나 묘지이나 지.. 제례 2013.09.19
묘제축문 # 묘제축(墓祭祝) (一) # 풀이=몇代손 某는 몇代 할아버님 묘소에 감히 고하옵니다. 세천일사는 예문에도 있아온바이제 서리도 이미 내렸아옵기에 그리운 마음 더욱 간절 하옵니다. 이에 삼가 맑은 술과 몇가지 음식으로 세사(歲事)를 올리오니 흠향 하옵소서. # 묘제축(墓祭祝) (二) # 풀이=.. 제례 2013.09.13
4대봉사 왜 제사는 4대까지 지낼까? 氣와 靈의 세계. 우리는 전통적인 관례로 4대조 이하 조상님들께 제사를 올린다. 왜 하필 5대조나 6대조가 아닌 4대조 이하일까? 거기엔 이유가 있다. 사람이 죽으면 그 기(氣)의 파장이 약 100년 동안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氣)의 파장이 변하지 않으므로 자기.. 제례 2013.09.11
세 와 대 세(世)와 대(代) 驪州李氏사이버재실 李星衡 世와 代는 족보에 시조를 몇 世 와 몇 代로 지정 했는가에 정해진다, 족보에 지정 한대로 하면된다. 驪州李氏 世譜는 世를 기준으로 시조어른을 1世로 시작하였기에 世를 사용하여야하며, 代를 쓸시에 시조는 1 代이다. 世와 代는 기준이고 기.. 제례 2013.08.27
한복입기 한복 바르게 입기 ! 한복은 한복의 아름다움이 세계적으로 알려진 우리의 전통 복장이다. 단순히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여러 가지 뜻을 담고 있는 옷이기도 하다. 여자 한복의 경우 예전엔 저고리 고름이 자주색이면 남편이 있다는 뜻이고, 또 소매 끝동이 남색이면 아들이 있다.. 제례 2013.02.10
조율이시 조율이시(棗栗梨枾) (棗栗梨枾)에 담겨진 심오한 의미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대추, 밤, 배, 감에는 아래와 같은 심오한 뜻이 있다. 대추(棗) 대추나무는 암수가 한 몸이고, 한 나무에 열매가 엄청나게 많이 열리는데 꽃 하나에 반드시 열매가 맺히고 나서 꽃이 떨어진다. 헛꽃은 절.. 제례 2013.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