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제(望祭) 시 묘사 축문 ◆
사정에 의하여 조상 산소까지 못 가고 산소가 있는 쪽을 향하여 묘하(墓下)의 결지(潔地) 또는 재실이나 집에서 지내는 제사를 망제라 한다. 지내는 절차는 묘사와 같으나 지방을 모시고 축문의 내용은 망제를 지내게 된 연유를 쓴다. 망제 행사시 묘소에서 인향(引香)을 해 와서 행사(行祀)한다고 함은 속례인데 사정상 인향을 못해올 경우는 인향을 생략할 수 있다.
묘사를 다른 장소에서 지낼 경우 묘사축 - 1
유세차경진시월무오삭초육일계해 오대손동수
維歲次庚辰十月戊午朔初六日癸亥 五代孫東洙
감소고우
敢昭告于
현오대조고학생부군
顯五代祖考學生府君
현오대조비유인김해김씨 기서유역 상로기강
顯五代祖妣孺人金海金氏 氣序流易 霜露旣降
불승감모 금일체우 묘소불취 봉행망제
不勝感慕 今日滯雨 墓所不就 奉行望祭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향
饗
유세차 경진 10월 초 6일 5대손 동수는 5대 할아버님과 할머님께 감히 고하옵나이다.
계절의 기운이 바뀌어 이슬과 서리가 내려 사모함을 이기지 못하겠사옵나이다. 오늘 비에 갇혀 묘소에 갈 수가 없어 망제로 행사 하옵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제수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묘사를 다른 장소에서 지낼 경우 묘사축 - 2
유세차경진시월무오삭초육일계해 오대손동수
維歲次庚辰十月戊午朔初六日癸亥 五代孫東洙
감소고우
敢昭告于
현오대조고학생부군
顯五代祖考學生府君
현오대조비유인김해김씨 기서유역 상로기강 불승감모
顯五代祖妣孺人金海金氏 氣序流易 霜露旣降 不勝感慕
예당소영 금일대설 묘소불취 재실(결지) 지방망사
禮當掃塋 今日大雪 墓所不就 齋室(潔地) 紙榜望祀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향
饗
유세차 경진 10월 초 6일 5대손 동수는 5대 할아버님과 할머니께 감히 고하옵나이다.
계절의 기운이 바뀌어 이슬과 서리가 내려 사모하는 마음 이길 수 없사옵니다. 마땅히 성묘의 예를 드려야 합니다만 오늘 큰 눈이 와서 묘소에 나아가기 어려워 재실(결지)에서 지방을 모시고 망제로 행사 하옵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제수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묘사 지내는 방법
시사(時祀)는 한식 또는 10월에 5대조 이상의 묘소(墓所)에서 지내는 제사를 관행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한식 또는 10월에 정기적으로 묘제를 지낸다고 하여 묘사를 묘제, 세일사, 시사, 시향이라고도 한다. 이는 5대 이상의 조상을 모시는 묘제(墓祭)를 가리키며, 4대친(四代親)에 대한 묘제를 사산제(私山祭)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그래서 묘사(墓祀), 묘전제사(墓前祭祀)라고 하며, 일년에 한 번 제사를 모신다고 하여 세일제(歲一祭), 세일사(歲一祀)라고도 한다 묘사는 성묘의 발전으로 조상의 묘소를 수호하려는 의지가 오늘날까지 그대로 전승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묘사를 지내는 시기는 3월이나 10월에 날을 정하여 행사한다. 오늘날은 거의 10월에 묘사지낸다. 묘사는 기일과 관계없이 지내며 기제사(忌祭祀)는 4대조까지 모시는데 비해 묘제는 5대조 이상의 조상을 지낸다. 봉사가 지난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는 묘사뿐이다. 그런데 후세에 오면서 속례로 기제사를 지내는 봉사친에게는 묘사를 지내지 않고 친진조(親盡祖 :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대가 다 됨. 5대조이상)이상)에게만 지내게 되었으나 지방과 가문에 따라 기제사를 지내 는 봉사 대상을 포함하여 모든 조상에게 묘사를 지내기도 한다. 묘사는 성씨의 시조부터 묘소가 있으면 묘소에서, 실전 되었으면 설단 후 단소에서 묘사를 지내기도 한다. 그러나 사가(私家)에서는 가을에 묘소 벌초한 다음 간소한 제수로 약식으로 묘사를 지내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또 추석 차례 때 산소에서 차례 겸 묘사를 지내고 10월 묘사를 생략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건전가정의례준칙에는 묘사는 생략하고 간단한 제수로 성묘는 할 수 있다고 법으로 정하고 있다 기제사는 참사자가 당내친(堂內親)에서 멀어야 3종, 4종을 넘기 어렵다. 그러나 시조, 중시조, 현조의 묘사는 참사자의 범위가 후손 모두로 훨씬 넓으니 수십, 수백 명의 참사자가 운집하여 성황을 이루기 때문에 제사 지내는 절차를 정하여 기록, 비치하였다가 행사(行祀) 때 집례가 제사의 절차를 창홀하면서 제사를 지내는 예가 많다. 묘사의 절차를 적은 것이 홀기인데 이는 큰 묘사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묘소에서 지내는 경우에는 참신(參神)을 먼저한다. 기제때나 지방을 사용하게되면 신을 묘셔오는 것(강신)이 먼저이겠으나 묘제는 신이 계신곳이므로 참신을 먼저한다. 참제자 모두가 먼저 재배를 하면된다. 신이 계시기 때문에 강신을 하지 않는다고도 한다 ◆ 우리 나라에서의 사시제는 고려 공양왕 2년(1390) 8월에 「사대부가제의(士大夫家祭儀)」를 제정하여 사시제의 절차와 내용을 정하였고, 조선시대에는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규정하고 있는데, 대체로 주자(朱子)의 『가례』 의식을 본떴다.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대부·사·서인 사중월시 향의(大夫士庶人四仲月時享儀)’라고 하여 2품 이상은 상순에, 6품 이상은 중순에, 7품 이하는 하순에 길일을 점쳐서 받들도록 하였다. 그 절차는 재계(齋戒)·설위진기(設位陳器)·봉주(奉主)·참신(參神)·강신(降神)·진찬(進饌)·초헌(初獻)·독축(讀祝)·아헌(亞獻)·종헌(終獻)·음복(飮福)·사신(辭神)·납주(納主)·철찬(徹饌)·준(餕)의 순서로 되어 있다. 참고로 주자의 『가례』의 절차를 알아보면, 전기삼일재계(前期三日齋戒)·전일일설위(前一日設位)·진기(陳器)·성생(省牲)·척기(滌器)·구찬(具饌)·봉주·취위(就位)·참신·강신·진찬·초헌·아헌·종헌·유식(侑食)·합문(闔門)·계문(啓門)·수조(受胙)·사신·납주·철(徹)·준의 순으로 되어 있다. 이 사시제의 절차가 제사의 가장 완비된 절차이므로 기제를 비롯한 나머지 제사에도 그 경중에 따라 덜거나 더하여 사용하였다. ◆ 개인묘사 ◆ (사가 묘사) 문중묘사(中시조, 八향조, 파조) 이외의 개인묘사에는 단(單)헌인고로 첫잔을 올리고 젓가락을 가지런히 놓은 다음 독축 재배하고,고개 숙였다가 바로 사신 재배하고 끝내는 경우도 있으며 개인 묘사에는 홀기없이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며 오늘날은 독촉을 하지 않는다. 독축이 없으면 단헌이다. 『가례』나『사례편람』에는 묘사에 유식[첨작 : 삽시정저]의 절차가 없다.
① 분향(강신) : 제주가 꿇어앉아 삼상향[세 번 향을 사른다.] 후 서집사가 잔반을 제주에게 주고 동집사가 잔반에 술을 부으면 제주는 술잔의 술을 땅에 세 번에 나누어 땅에 지운 다음 빈 잔을 집사가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리고 제주는 재배한다.(참석자 모두 참신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묘소에서 지내는 경우에는 신이 계신곳이므로 강신없이 참신을 한다. 참석자 모두가 재배한다. ② 참신 : 참사자 모두 재배한다. ===>> ③ 헌주 때 참석자 모두 참신을 하기도 한다 ③ 헌주 : 집사가 잔반을 제주에게 주면 집사는 제주가 든 잔에 술을 따른 다음 제주의 잔반을 집사가 잔을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리고, 젓가락을 올리고 제주는 (참석자 모두) 재배한다. ④ 첨잔 : 술잔을 완전히 채우지 않은 잔에 집사나 근친자가 술을 채워지지 않은 잔에 세번에 나누어 술을 부어 채운 후 제주만 두번 절을 한다 ⑤ 유식 : 참사자 모두 2~3분 정도 엎드려 고개를 숙이고 꿇고 앉아 기다린다. 제주가 기침으로 모두 일어날것을 알려준다. ( 유식의 절차가 없으면 술 이외의 제수를 흠향할 기회가 없기에 유식한다) ◆헌다 : 헌다는 슝능과 차를 올리는 절차이나 묘사에도 슝능을 올리지 않고 고개를 숙이고 잠시 기다리기도 한다 ⑥ 사신 : 젓가락을 내리고 참사자 모두 재배한다. ⑦ 철찬 : 제수를 물린다. ⑧ 음복 : 참사자는 음복한다. ◆ 문중묘사 ◆ ◆ 집사 분정(執事分定) ◆ 시조나 중시조의 묘사 때는 전국 각지에서 후손들이 모이기 때문에 참제(參祭)할 자손이 모두 도착할 때까지 기다려서 도착하면 종중 회의를 열어 여러 경과도 보고하고 토의하는데 이를 개좌(開座)라 한다. 유사들이 재임실(齋任室)에 별도로 모여 숙의 끝에 묘소의 헌관 및 제집사(諸執事)를 정해 큰 종이에 붓으로 써서 내걸고 발표한다. 이를 집사분정 또는 집사분방이라 한다. 분정에서 붙이는 직명은 지방과 가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개 다음과 같다. ․ 초헌관(初獻官) : 첫잔을 올리는 제주를 말한다. ․ 아헌관(亞獻官) : 둘째 잔을 올리는 자로 방손이나 타성의 빈객이 맡기도 한다. ․ 종헌관(終獻官) :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자를 말한다. 축관(祝官) : 왕을 모시는 제향 등 대제(大祭)는 대축(大祝)이라 하고 일반 제향에서는 축관이라 한다. ․ 집례(執禮) ․ 찬자(贊者) : 홀기를 읽는 사람이다. ․ 판진설(判陳設) ․ 진설(陳設) : 판진설은 진설의 책임자를 말하고 진설은 제물을 상석(床石)에 차리는 사람이다. ․ 봉향(奉香) : 향합을 받드는 사람이다. ․ 봉로(奉爐) : 향로를 받드는 사람이다. ․ 봉작(奉爵) : 잔반에 술을 붓는 사람이다. ․ 전작(奠爵) : 잔반을 제상에 올리는 사람이다. ․ 사준(司罇) : 술동이의 술을 술잔에 따르는 사람읻. ․ 알자(謁者) : 초헌관을 인도 안내하는 사람이다. ․ 찬인(贊引) : 아헌관․종헌관을 인도 안내하는 사람이다. ․ 직일(直日) : 헌관을 지냈거나 5집사의 집사를 맡기가 거북한 분으로 덕망이 높은 분을 예우해 주는 말이다. 직일이라 하지 않고 학생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보면 제주 이하가 넓은 뜻의 집사자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통용되는 뜻은 헌관, 집례, 축관을 제외한 모든 직임을 일컫는 것이 집사자이다. 제물은 상석에 진설한다. 진설법은 기제사에서의 제상에 진설하는 것과 거의 같다. 상석 뒤에 혼유석이 있는데 거기에 지방이나 신주를 갖다 놓지 않는다. 향로와 향합은 상석 앞의 향안석에 놓으므로 향탁이 필요 없고 모사기는 잔디와 흙이 천연으로 있으므로 필요 없다. 묘소에 상석이 없으면 봉분 앞 평평한 곳에 깨끗한 자리를 깔고 제물을 차리고 향로와 향합을 앞에 놓는다. 천막이 있으면 쳐도 된다. 묘사는 묘지에서 지내므로 병풍, 교의, 신위 등은 필요 없다. 참사자가 많으면 홀기에 의해 행사하나 사가 묘사는 홀기 없이 묘사를 지낸다. 시조, 중시조, 현조 등 많은 문중원이 참사하는 묘사는 아직도 전통적인 의례대로 제수를 진설하는 가문도 있고 현실 여건에 따라 감쇄한 제수를 진설하기도 한다. <홀기에 의한 묘사 절차> 묘사 홀기는 지방마다 가문마다 묘소마다 조금씩 다르다. 참사자가 많은 문중묘사[시조, 중시조, 현조(顯祖), 입향조, 파조]의 경우는 홀기를 읽고 홀기의 절차에 따라 묘사를 행사하는 경우가 많다. 개인 묘사에는 홀기 없이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① 개례(開禮)를 행합니다. - 지금부터 묘사를 시작하겠습니다. (謹具 請行事) - 헌관과 집사 및 모든 제관은 묘 앞에 차례대로 서시오. (獻官諸執事 及參祭員墓庭序立) - 집사는 묘 앞에 나아가 제수를 진설하시오. (執事者詣墓位前陳設) - 알자는 초헌관을 묘 앞으로 안내하여 진설한 것을 살피게 하시오. (謁者引初獻官詣墓位前點視陳設) - 내려가 제자리에 서시오. (引降復位) ② 강신례를 행합니다. - 알자는 초헌관이 손을 씻을 자리로 안내하면 손을 씻으시오. (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盥洗) - 헌관은 향탁 앞에 꿇어앉아 세 번 분향하시오. (引詣香案前跪三上香) - 서집사는 신위 묘전의 잔을 초헌관에게 드리시오. (西執事墓位前以爵授初獻官) - 초헌관은 술잔을 정중히 받으시오. (初獻官以鄭重執事爵) - 동집사는 초헌관의 오른쪽에 꿇어앉아 술잔에 술을 따르시오. (東執事以右跪初獻官酌酒) - 헌관은 술잔의 술을 묘 앞에 삼제로 다 비우시오. (獻官執爵注墓前三除) - 서집사는 잔을 받아 원래의 자리에 놓고 제자리에 서시오. (西執事受爵奠于故處復位) - 헌관은 잠시 엎드렸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서서 두 번 절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初獻官俯伏興小退再拜降復位) ③ 참신례를 행합니다. - 헌관 이하는 모두 두 번 절하시오. (初獻官以下皆再拜) ④ 초헌례를 행합니다. - 알자는 초헌관을 묘 앞으로 안내하고 헌관은 꿇어앉으시오. (謁者引初獻官詣復位前跪) - 서집사는 묘위전의 잔을 헌관에게 드리시오. (西執事墓位前以爵受獻官) - 초헌관은 정중히 잔을 받으시오. (初獻官以鄭重執事爵) - 동집사는 초헌관의 오른쪽에 꿇어앉아 술잔에 술을 따르시오. (東執事以右跪初獻官酌酒) - 초헌관은 서집사에게 잔을 주고 서집사는 잔을 받아 묘위전에 올리시오. (初獻官授爵西執事受爵奠于墓位前) - 집사는 메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삽시하고 젓가락을 바르게 정저한 후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執事者啓飯揷匙正箸復位) - 축관은 나아가 초헌관의 왼편에 꿇어앉으시오. (祝進初獻官之左跪) - 헌관 이하는 다 부복을 하시오. (祭官皆俯伏) - 축관은 독축을 하고 독축이 끝나면 축판을 제자리에 놓으시오. (祝官讀祝訖讀還置祝板於故處) - 초헌관은 조금 물러나서 두 번 절을 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初獻官再拜降復位) ⑤ 아헌례를 행합니다. - 찬인은 아헌관을 손 씻을 자리로 안내하고 헌관은 손을 씻으시오. (贊引引亞初官詣盥洗位盥洗) - 찬인은 아헌관을 묘위 전에 안내하고 헌관은 꿇어앉으시오. (贊引引亞獻官詣墓位前跪) - 서집사는 묘위 전에 잔을 헌관에게 드리시오. (西執事墓位前以爵授獻官) - 아헌관은 정중히 술잔을 받으시오. (亞獻官以鄭重執爵) - 동집사는 아헌관의 오른쪽에 꿇어앉아 술잔에 술을 따르시오. (東執事以右跪亞獻官酒爵) - 아헌관은 서집사에게 잔을 주고 서집사는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리시오. (亞獻官授爵西執事受爵奠于故處) - 아헌관은 두 번 절하고 제자리에 돌아가시오. (亞獻官再拜復位) ⑥ 종헌례를 행합니다. - 찬인은 종헌관을 손 씻을 자리로 안내하고 헌관은 손을 씻으시오. (贊引引終獻官詣盥洗位盥手洗手) - 찬인은 종헌관을 묘위 전에 안내하고 헌관은 꿇어앉으시오. (贊引引終獻官詣墓位前跪) - 서집사는 묘위 전에 잔을 헌관에게 드리시오. (西執事墓位前以爵授獻官) - 종헌관은 정중히 술잔을 받으시오. (終獻官以鄭重執爵) - 동집사는 종헌관의 오른쪽에 꿇어앉아 술잔에 술을 따르시오. (東執事以右跪終獻官酌酒) - 종헌관은 잔을 받아 모상에 세 번 지우시오. (獻官盞盤三祭于茅上) - 종헌관은 서집사에게 잔을 주고 서집사는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리시오. (終獻官授爵西執事受爵奠于故處) - 종헌관은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終獻官小退再拜復位) ⑦ 유식례를 행합니다. - 알자는 초헌관을 안내하여 묘위 전에 안내하고 헌관은 꿇어앉으시오. (謁者引初獻官詣墓位前跪) - 서집사는 잔을 헌관에게 주시오. (西執事以爵授獻官) - 헌관은 정중히 술잔을 받으시오. (初獻官以鄭重執爵) - 동집사는 초헌관의 오른쪽에 꿇어앉아 덜 찬 잔에 술을 따르시오. (東執事以右跪初獻官酌酒) - 초헌관은 서집사에게 잔을 주고, 서집사는 술잔을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리시오. (初獻官授爵西執事受爵奠于故處) - 초헌관은 두 번 절하고 자리에 돌아가시오. (初獻官再拜復位) - 집사는 숭늉을 올리고 밥을 물에 마시오. (執事進熟水三抄飯) - 헌관 이하 모두는 엎드려 잠시 기다렸다가 일어서시오. (獻官以下皆俯伏肅竢少頃興) ⑧ 사신례를 행합니다. - 집사는 시저를 거두고 메의 뚜껑을 덮으시오. (執事者撤匙箸合飯盖) - 알자는 초헌관 앞에 나아가 고이성하시오. (謁者詣初獻官前告利成) - 헌관 이하는 모두 일어서 두 번 절하시오. (獻官以下序立皆再拜) - 축관은 축문을 불사르시오. (祝官焚祝) - 집사자들은 제수를 물리시오. (諸執事撤饌) - 헌관 이하 모두 물러 나가시오. (獻官以下皆退出) <홀기에 의한 묘사 절차>---참신을 먼저 하기도 한다 ① 진설(陳設) : 진설도를 참고하여 제수를 진설할 것이다. ② 참신(參神) : 초헌자이하 참제원이 일제히 묘앞에 참배하고 나서 초헌자가 묘앞에 꿇어 앉고 집사는 단위시(單位時) 좌우에 각각 일인(一人)씩 들어 선다. ③ 강신(降神) : 분향 강신·헌작·개반·정저 등 행사에 서집사는 고위(考位)를 동집사는 비위( 位)를 담당하고 동집사 사준은 동쪽에 축은 서쪽에 들어선다. 초헌자는 묘위전에 꿇어앉아 삼상향(三上香)하고 동집사가 잔을 내려 초헌자에 주면 이를 양손으로 잡고 동집사가 술을 약간 따르면 초헌자가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잡고 모사기에 서쪽으로부터 동쪽으로 세번 나누어 붓고 공잔을 본자리에 둔다음 한발씩 물러서 재배한다. ④ 초헌(初獻) : 초헌자는 다시 묘위전(墓位前)에 꿇어 앉으면 동집사가 고위전(考位前)의 술잔을 내려 초헌자에 주면 이를 잡고 동집사가 술을 따른다. 이 술잔을 서집사가 받아 위전(位前)에 올리고 양위(兩位)면 동집사가 비위전(비位前)의 술잔을 내려 초헌자에 주면 이를 받아 잡고 동집사가 술을 따른다. 이 술잔을 서집사가 받아 위전(位前)에 올리고 젓가락을 시접에 바로해 놓은 다음 축(祝)이 초헌자의 좌에 동향으로 꿇어앉아 독축문 한다.(이 때 참제원 모두다 부복한다.) ⑤ 아헌(亞獻) : 아헌자는 위전(位前)에 꿇어앉아 초헌과 같은 식으로 술잔을 올리고 재배한다. ⑥ 종헌(終獻) : 종헌자는 아헌과 같이 술잔을 올리니 각 분담 집사가 밥뚜껑을 벗기고 숟가락을 메에 꽂고 젓가락을 바로 해놓은 다음 재배한다. (유식례가 없으면 첨작 부복이 있을수 없다. 그러나 첨작하고 부복하는 집이 허다할 뿐만 아니라 『문공가례(文公家禮)』에도 유식(侑食)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⑦ 진다(進茶) : 집사가 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려 메를 세번떠서 말아둔 다음 머리 숙였다가 바로 하시저 해서 시접위에 놓고 뚜껑을 덮는다. ⑧ 사신(辭神) : 축이 주인(主人)의 동향해 고이성(告利成 : 이성은 큰 묘사에는 있는것 같으나 보통 큰 묘사에는 없는 것 같다.) 한 후 초헌자 이하 모두 재배하고 축문을 향안앞 땅에 동향해서 불에 태우고 철상한다. ⑨ 철상(撤床) : 집사자가 진설을 철상한다. ⑩ 음복(飮福) : 음복한다. ① 참사자서립(參祀者序立) : 모든 참사자 묘소 앞에 나아가 항렬(行列)에 따라 줄지어서고, 삼헌자와 독축자도 제 자리에 선다. ② 진찬(進饌) : 제수를 상석(床石)위에 진설한다. ③ 강신(降神) : 초헌자가 꿇어앉아 삼상향(三上香)하고 재배한다. 초헌자와 집사는 꿇어앉아 서집사가 잔반을 초헌자에게 주면 동집사가 술을 따르면 초헌자가 땅에 술을 세 번 지우고 재배한 후 제자리에 간다. ④ 참신(參神) : 모든 참사자가 재배한다. ⑤ 초헌(初獻) : 초헌자가 앞에 나아가 꿇어앉으면 서집사가 잔을 초헌자에게 주면 동집사는 술을 따른다. 초헌자는 잔을 받아 정성껏 받들어 잔을 집사에게 주며 집사는 잔을 원자리에 올린다. 이때 정저(正箸)을 한다. 비위 묘소에서 인향해오거나 합폄(合폄) 또는 쌍분(雙墳)의 경우는 고비(考비) 합사(合祀)한다 ⑥ 독축(讀祝) : 독축자는 초헌자의 왼편에서 동향해 앉아 독축한다. 이때 초헌자 이하 모든 참사자는 꿇어 앉는다. 독축자가 독축을 하고 물러나면 제관 모두 일어서고 초헌자는 재배한다. ⑦ 사신(辭神) : 하시저, 복반하고 참사자 모두 재배하고, 독축자는 축문을 불사른다. ⑧ 철상(撤床) : 집사자가 진설을 철상한다. ⑨ 음복(飮福) : 음복한다. < 일반 묘사 절차 > ① 참사자서립(參祀者序立) : 모든 참사자는 묘소 앞에 나아가 제자리에 선다. ② 진설(進設) : 제수를 진설한다. ③ 강신(降神) : 초헌관은 꿇어앉아 세 번 향을 사르고 난 후 서집사가 잔반을 초헌관에게 주면 동집사가 술을 따른다. 헌관이 땅에 세 번 지우고 난 빈잔 을 서집사가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린 다음 초헌관은 재배한 후 제자리에 간다. ④ 참신(參神) : 모든 참사자가 재배한다. ⑤ 초헌(初獻) : 초헌관이 묘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으면 서집사가 잔을 초헌관에게 내려 주면 동집사는 술을 따른다. 초헌관은 잔을 받아 정성껏 받든 잔을 서집사가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리고 정저한다. ⑥ 독축(讀祝) : 축관은 초헌관의 왼편에서 동향해 꿇어앉아 독축한다. 이때 초헌관 이하 모든 참사자는 부복한다. 축관은 독축이 끝나면 제자리로 가고참사자는 일어서고 초헌관은 재배 후 자리로 돌아간다. ⑦ 아헌(亞獻) : 초헌과 같이 하되 독축은 없다. ⑧ 종헌(終獻) : 아헌과 같이 한다. ⑨ 정저(正箸) : 술 이외의 제수를 흠향하시도록 정저한 후 참사자는 2~3분동안 부복이나 국궁 한 후 바로 선다. ⑩ 하시저(下匙箸) : 수저를 내린다. ⑪ 사신(辭神) : 참사자 모두 신위께 재배한다. ⑫ 철찬(撤饌) : 집사자가 제수를 물리고 독축자는 축문을 불사른다. ⑬ 음복(飮福) : 제수를 먹으며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독축이 없으면 단헌이다. 『가례』나『사례편람』에는 묘사에 유식[첨작 : 삽시정저]의 절차가 없다. ◆ 무축 묘사의 절차 ◆ ① 강신 : 제주가 꿇어앉아 삼상향[세 번 향을 사른다.] 후 서집사가 잔반을 제주에게 주고 동집사가 잔반에 술을 부으면 제주는 술잔의 술을 땅에 세 번에 나누어 땅에 지운 다음 빈 잔을 집사가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린 다음 제주는 재배한다. ② 참신 : 참사자 모두 재배한다. ③ 헌주 : 집사가 잔반을 제주에게 주면 집사는 제주가 든 잔에 술을 따른 다음 제주의 잔반을 집사가 잔을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리고 정저한 다음 제주는 재배한다. ④ 정저 : 다시 정저한 다음 참사자 모두 2~3분 동안 부복이나 국궁을 한다. (다시 정저의 절차가 없으면 술 이외의 제수를 흠향할 기회가 없기에 정저하고 부복한다.) ⑤ 사신 : 젓가락을 내리고 참사자 모두 재배한다. ⑥ 철찬 : 제수를 물린다. ⑦ 음복 : 참사자는 음복한다. ․ 제수가 은전(恩典)이 아닌 주과포나 고기와 떡을 진설 하였을 때의 절차이고 은전이면 전통 묘사편의 절차에 따른다. ․ 묘사를 축문 없이 지낼 때는 위의 절차에 따르고, 독축하면 헌주 대신 초헌, 아헌, 종헌의 절차대로 행사한 다음 다시 정저하고 부복이나 국궁한 후 사신 재배한다. 문중의 시조나 현조의 묘사는 전통 제례편을 참고하면 된다. ◆ 주과포로 지내는 묘사 ◆ ① 참사자서립(參祀者序立) : 참사자는 묘소 앞에 모두 선다. ② 진찬(進饌) : 제수를 진설한다. ③ 강신(降神) : 제주가 꿇어 않아 삼상향하고 나면 서집사가 잔반을 제주에게 주며 동집사가 술을 따르면 제주는 뇌주한 다음 빈 잔을 집사에게 주며 제자리에 올린 다음 제주는 재배한다. ④ 참신(參神) : 참사자 모두가 재배 한다. ⑤ 헌작(獻爵) : 제주가 술을 한 잔 올리고 나서 제주는 저(箸)를 고르면 재배한다. ⑥ 부복(俯伏) : 참사자는 5∼6분간 부복한다. ⑦ 사신(辭神) : 참사자 일동이 재배한다. ⑧ 철상(撤床) : 제수를 물린다. ⑨ 음복(飮福) : 음복한다. ◆ 주포(酒脯)로 성묘할 경우 ◆ ① 강신 : 향을 준비했으면 분향하고 향 준비가 안 되었으면 술로 삼제 뇌주하고 제주는 재배한다. ② 참신 : 참여자 모두가 재배한다. ③ 헌작 : 제주가 헌작 후 저를 포 위에 정저하고 모두 부복한다. ④ 사신 : 저를 내리고 모두 사신 재배한다. ⑤ 철상(撤床) : 제수를 물린다. ⑥ 음복(飮福) : 음복한다. <합동 묘사> 합동 묘역에서 묘사를 지낸다면 지방을 모시거나 인향(引香)하여 지낸다. ․ 합동 묘역에 9대조까지 모신 경우는 그 직계손이 직계 9대조부모까지의 묘사만 지낸다. 방계 조상에게는 지낼 수 없다. ․ 9대조 아들이 형제분이라면 직계 장손이 8대조부모까지의 묘사를 지낸다. 초헌관은 직계조상만 지낸다. ․ 7대조의 장손은 7대조부모까지의 묘사를 지낸다. ․ 어떤 제주는 6대조까지 지내고 어떤 제주는 조부모까지 지내고 어떤 제주는 부모의 묘사만 지낸다. 제주마다 묘사 대상이 다르다. 어떤 사람은 차손이라서 대행하지 않는 한 제사 대상은 없다. 방조는 그 직손이 없을 시 방손이 지낼 수도 있다. 합동 묘역에서의 묘사의 제수 ․ 어떤 제주가 제수를 진설하고 묘사를 지낸 후 다음 순서의 제주는 새 제수를 진설하고 지낸다. 한 번 제사지낸 제수를 다른 제사에 쓰지 않는다. ․ 제주의 사정에 따라 주과포로만 진설하고 지낼 수 있다. ․ 절차를 간소화한다고 하여 많은 제수를 한꺼번에 진설해 놓고 합동묘역의 조상에게 참사자 일동이 한 번의 절차로 묘사를 지내서는 안 된다. 각 묘위마다 묘사 지낼 자손들이 다르기 때문이다. ◆ 합동 묘역에서 묘사 축문 ◆ 유세차무자시월갑자삭십삼일병자 효현손동일 維歲次戊子十月甲子朔十三日丙子 孝玄孫東日 감소고우 敢昭告于 현구대조고통덕랑부군 顯九代祖考通德郞府君 현구대조비의인경주이씨 顯九代祖妣宜人慶州李氏 현팔대조고처사부군 顯八代祖考處士府君 현팔대조비유인김해김씨 顯八代祖妣孺人金海金氏 (중략) 현고군의원부군 顯考郡議員府君 현비부인강릉김씨 세서유역 顯妣夫人江陵金氏 歲序流易 상로기강 불승감모 지방묘사 霜露旣降 不勝感慕 紙榜墓祀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향 饗 유세차 무자 10월 13일 효현손 동일은 9대조 통덕랑 할아버님과 9대조모 의인 경주 김씨와 8대조 할아버님과 8대조모 유인 김해 김씨와 (중략) 군의원 아버님과 어머님 강릉 김씨께 감히 고하옵나이다. 세월이 흘러 이슬과 서리가 벌써 내려 추모하는 마음 이기지 못하겠나이다. 지방을 모시고 삼가 정성껏 간소하게 제수를 올리오니 선조께서는 두루 흠향하시옵소서. ◆묘사 축문◆ 1) 선대 묘사축 유세차경진시월기미삭초오일계해 오대손동수 維歲次庚辰十月己未朔初五日癸亥 五代孫東洙 감소고우 敢昭告于 현오대조고학생부군지묘 기서유역 상로기강 첨소봉영 불승감모 顯五代祖考學生府君之墓 氣序流易 霜露旣降 瞻掃封塋 不勝感慕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향 饗 유세차 경진 10월 초5일 5대손 동수는 5대 할아버님 묘소에 삼가 고하옵나이다. 계절의 기운이 바뀌어 이슬과 서리가 내려 봉분을 적시기에 이것들을 쓸어내리고 봉분을 바라보니 이에 감동하고 사모함을 이기지 못하옵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제수를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2) 부모 망제(望祭)시 묘제축문 : 쌍분(雙墳)이나 합폄(合窆)일 때 유세차경오시월병술삭십오일경자 효자 길동 維歲次庚午十月丙戌朔十五日庚子 孝子 吉東 감소고우 敢昭告于 현고처사부군 顯考處士府君 현비유인창녕조씨지묘 기서유역 상로기강 첨소봉영 호천망극 顯妣孺人昌寧曺氏之墓 氣序流易 霜露旣降 瞻掃封塋 昊天罔極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향 饗 유세차 경오 시월 십오일 효자 길동은 아버지와 어머님 묘소에 감히 밝게 고하옵나이다. 절후가 바뀌어 이미 서리가 내렸으므로 묘소를 청결하게 하고 바라보니 하늘과 같은 은혜 끝이 없사옵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제물로서 공경히 제사를 올리오니 흠향하옵소서. 2) 한글 묘사축 유세차 을유 월 일 ○대손 ○○는 감히 ○대 할아버님(할머님)의 묘에 밝게 사뢰옵나이다. 세월은 흘러 이슬과 서리가 벌써 내렸나이다. 우러러 묘소를 둘러보고 깨끗이 다듬으며 추모하는 마음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갖은 제수를 경건히 드리오니 두루 흠향하시옵소서. 아뢰옵건데 2007년 ○월 ○일 효자(이름)는 아버님 묘소에 감히 밝게 고하나이다. 어느덧 계절이 바뀌어 10월이 돌아왔사옵나이다. 무덤을 우러러 어루만져 보고 쓸고 다듬었사옵나이다. 하늘보다 더 높고 넓은 은혜 그 어디에 비유할 수 있겠나이까. 삼가 맑은 술과 제수(주과포)를 정성껏 받들어 드리오니 흠향하시옵 소서 ◆ 망제(望祭) 시 묘사 축문 ◆ 사정에 의하여 조상 산소까지 못 가고 산소가 있는 쪽을 향하여 묘하(墓下)의 결지(潔地) 또는 재실이나 집에서 지내는 제사를 망제라 한다. 지내는 절차는 묘사와 같으나 지방을 모시고 축문의 내용은 망제를 지내게 된 연유를 쓴다. 망제 행사시 묘소에서 인향(引香)을 해 와서 행사(行祀)한다고 함은 속례인데 사정상 인향을 못해올 경우는 인향을 생략할 수 있다. 묘사를 다른 장소에서 지낼 경우 묘사축 - 1 유세차경진시월무오삭초육일계해 오대손동수 維歲次庚辰十月戊午朔初六日癸亥 五代孫東洙 감소고우 敢昭告于 현오대조고학생부군 顯五代祖考學生府君 현오대조비유인김해김씨 기서유역 상로기강 顯五代祖妣孺人金海金氏 氣序流易 霜露旣降 불승감모 금일체우 묘소불취 봉행망제 不勝感慕 今日滯雨 墓所不就 奉行望祭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향 饗 유세차 경진 10월 초 6일 5대손 동수는 5대 할아버님과 할머님께 감히 고하옵나이다. 계절의 기운이 바뀌어 이슬과 서리가 내려 사모함을 이기지 못하겠사옵나이다. 오늘 비에 갇혀 묘소에 갈 수가 없어 망제로 행사 하옵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제수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묘사를 다른 장소에서 지낼 경우 묘사축 - 2 유세차경진시월무오삭초육일계해 오대손동수 維歲次庚辰十月戊午朔初六日癸亥 五代孫東洙 감소고우 敢昭告于 현오대조고학생부군 顯五代祖考學生府君 현오대조비유인김해김씨 기서유역 상로기강 불승감모 顯五代祖妣孺人金海金氏 氣序流易 霜露旣降 不勝感慕 예당소영 금일대설 묘소불취 재실(결지) 지방망사 禮當掃塋 今日大雪 墓所不就 齋室(潔地) 紙榜望祀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향 饗 유세차 경진 10월 초 6일 5대손 동수는 5대 할아버님과 할머니께 감히 고하옵나이다. 계절의 기운이 바뀌어 이슬과 서리가 내려 사모하는 마음 이길 수 없사옵니다. 마땅히 성묘의 예를 드려야 합니다만 오늘 큰 눈이 와서 묘소에 나아가기 어려워 재실(결지)에서 지방을 모시고 망제로 행사 하옵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제수를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제사를 함부로 지냄’을 뜻하는 음사(陰祀)에는 세 가지 경우가 있다.◆ 첫째, 지낼 자손이 제사를 지내지 않고 다른 사람이 지내면 음사이다. 둘째, 기제사는 제사 지낼 날에 지내야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음사이다. 셋째, 제사는 제사 지낼 장소에서 지내야 함에도 남의 집에서 지내거나 여행 중 호텔에서 지내면 음사가 된다. |